-
데이터 변경이력
데이터 변경이력 버전 일자 변경내용 비고 1.1 2023-12-27 데이터 최종 개방 1.0 2023-05-04 데이터 개방(Beta Version) 데이터 히스토리
데이터 히스토리 일자 변경내용 비고 2023-12-27 산출물 전체 공개 소개
온실가스 지중저장의 적지 선정을 위해 지질도, 지질시추, 지구물리탐사, 지질단면도 데이터 등 기존에 산재되어 있는 각 지질데이터를 표준화하여 구축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지하지층의 지질구조 파악
구축목적
경상권을 대상으로 이산화탄소의 지중저장 적지 선정을 위한 근본적 해결을 위해 지하지층의 지질구조를 AI기반으로 분석, 지중저장 적지 선정을 위한 AI 학습데이터 구축 및 배포
-
메타데이터 구조표 데이터 영역 재난안전환경 데이터 유형 이미지 데이터 형식 TIF 데이터 출처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에서 제공하는 수치지질도, 시추주상도, 물리탐사 데이터 라벨링 유형 세그멘테이션(이미지) 라벨링 형식 TIF, JSON 데이터 활용 서비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적지 분석 및 선정 등 지하공간 개발을 위한 기반자료 데이터 구축년도/
데이터 구축량2022년/87,771장 -
● 데이터 구축 규모
● 데이터 구축 규모 구분 종류 규격 해상도 크기 목표량
(제안 요청)최종 목표량 실적 달성율 AI모델 사용 이미지 수량 학습 데이터 지질단면도 생성(장기분지 대상) 62,000장 71,800장 82,713장 115.20% 7,829장 지질도 파일, 이미지 Json,Tif 2m/1px 568×464 20,000장 24,000장 24,800장 103.30% 30장 지질
시추파일, 이미지 Json,Tif 1m/1px 2×1 40,000장 40,000장 48,000장 120% 6,300장 지구
물리
탐사파일, 이미지 Json,Tif 2m/1px 2×1225(탄성파) 1,000장 3,000장 4,855장 161.80% 1,401장 1×1(물리검층) 지질단면도 파일, 이미지 Json,Tif 2m/1px 2840×1225 1,000장 4,800장 5,058장 105.30% 98장 2320×1225 2784×1225 지중저장 적지 예측 4,800장 5,058장 105.30% 5,058장 지중
저장
적지
GT
이미지파일, 이미지 Json,Tif 2m/1px 2840×1225 - 4,800장 5,058장 105.30% 5,058장 2320×1225 2784×1225 ● 데이터 주제별 분포
- 암상별 분포● 데이터 주제별 분포- 암상별 분포 암상별 분포 Age COUNT 비율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낙동층 2,442 1.61%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진주층 2,275 1.50%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하산동층 2,074 1.37%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다대포층 227 0.15%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장목리층 84 0.06%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정각산층 317 0.21%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화산암류 6,698 4.42%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건천리층 427 0.28%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신라역암층 1,850 1.22%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울련산층 591 0.39%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장평리층 65 0.04%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점곡층 650 0.43%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진동층 4,599 3.03%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칠곡층 1,692 1.12%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함안층 3,250 2.14% 관입암류 11,300 7.45% 단층선 544 0.36% 대기 18,168 11.98% 묘곡층 853 0.56% 범곡리층군 갈평동각력암 14 0.01% 범곡리층군 망해산안산암 및 응회암 67 0.04% 범곡리층군 방산리진주암 28 0.02% 범곡리층군 범곡리안산암 및 응회암 8 0.01% 범곡리층군 연일현무암 및 양휘석안산암 213 0.14% 범곡리층군 진전동안산암 및 응회암 19 0.01% 범곡리층군 창암안산암 및 응회암 32 0.02% 변성암류 3,230 2.13% 선캠브리아기 2,330 1.54% 신생대 제3기 25,231 16.63% 신생대 제4기 4,137 2.73% 연일층군 두호층 88 0.06% 연일층군 연일셰일 275 0.18% 연일층군 천북역암 328 0.22% 옥천층군 변성사질암 95 0.06% 장기층군 구룡포안산암 45 0.03% 장기층군 금광동셰일(식물층) 7 0.00% 장기층군 금오리안산안질 응회암 149 0.10% 장기층군 눌태리조면암 205 0.14% 장기층군 상부함탄층 175 0.12% 장기층군 상부현무암질 응회암 150 0.10% 장기층군 신정동안산암 7 0.00% 장기층군 장기역암 431 0.28% 장기층군 하부함탄층 81 0.05% 장기층군 하부현무암질 응회암 121 0.08% 중생대 9,760 6.43% 중생대 백악기 21,382 14.09% 지중저장 비적지 4,780 3.15% 지중저장 적지 327 0.22% 추정 단층선 487 0.32% 충적층 19,397 12.79% 합계 151,705 100% - 이미지 유형별 분포
● 데이터 주제별 분포- 이미지 유형별 분포 이미지 유형별 분포 데이터 종류 COUNT 결과 구성비 목표 구성비 지질도 24,800 29.98% 30.00% 2. 지질시추 48,000 58.03% 58.00% 3. 지구물리탐사 4,855 5.87% 6.00% 4. 지질단면도 5,058 6.12% 6.00% 합계 82,713 100% 100% -
-
AI 모델 상세 설명서 다운로드
AI 모델 상세 설명서 다운로드 AI 모델 다운로드● 활용AI모델 개발
- 가장 성능이 좋은 NeRF 기술로 지질도 전체에 대해 이미지를 생성하여 최종 지질단면도를 완성하고, U-NET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지질단면도를 학습시킨 후 지중적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 재학습- 인공지능 모델훈련 결과는 Overall Pixel Accuracy 기준으로 지질단면생성 82.95%, 지중저장 적지 예측 77.51% 도출
- 인공지능 모델훈련 결과는 Overall Pixel Accuracy 기준으로 지질단면생성 82.95%, 지중저장 적지 예측 77.51% 도출 구분 종류 모델 지표 목표치 결과값 지질도 이미지, 지질시추 이미지, 지구물리탐사 이미지, 지질단면도 이미지 지질단면 생성 NeRF Overallpixel accuracy 70% 이상 83.09% 지질단면도 이미지, 지중저장 적지 GT 이미지 지중저장 적지예측 U-Net Overallpixel accuracy 60%이상 85.44%(GAS Class) -
데이터 성능 점수
측정값 (%)기준값 (%)데이터 성능 지표
데이터 성능 지표 번호 측정항목 AI TASK 학습모델 지표명 기준값 점수 측정값 점수 1 지질 단면 생성 Image Generation NeRF Accuracy(Pixel 단위) 70 % 82.95 % 2 지중 저장 적지 예측 Object Detection U-Net Accuracy(Pixel 단위) 60 % 77.5 %
※ 데이터 성능 지표가 여러 개일 경우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지표의 값이 그래프에 표기됩니다.
※ AI모델 평가 지표에 따라 측정값의 범위,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ex. 오류율의 경우, 낮을수록 좋은 성능을 내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
설명서 및 활용가이드 다운로드
데이터 설명서 다운로드 구축활용가이드 다운로드● 객체클래스 정의
- 클래스 44종으로 분류되지 않은 지역은 ‘판독불가’로 분류하고 추가로 ‘지질경계선’, ‘단층’, ‘추정단층’을 추가로 구성하여 어노테이션● 객체클래스 정의 코드 항목명 R G B 이미지 코드 항목명 R G B 이미지 Qa 신생대 제4기 충적층 255 255 115 Kdd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다대포층 77 172 58 Ted 신생대 제3기 연일층군 두호층 232 237 54 Kjk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정각산층 72 169 73 Tesh 신생대 제3기 연일층군 연일셰일 234 227 51 Kygs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고성층 66 165 87 Tecg 신생대 제3기 연일층군 천북역암 235 217 48 Kgc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건천리층 60 160 100 Tcpa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범곡리안산암 및 응회암 201 159 244 Kyjp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장평리층 53 154 112 Tcca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진전동안산암 및 응회암 195 152 237 Km7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진동층 45 148 124 Tcma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망해산안산암 및 응회암 186 141 229 Km6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함안층 37 141 136 Tcpp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방산리진주암 175 129 218 Ke6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점곡층 31 134 146 Tcga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창암안산암 및 응회암 163 116 206 Km5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신라역암층 23 127 155 Tcbr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갈평동각력암 236 202 44 Km4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칠곡층 19 121 164 Tcyt 신생대 제3기 범곡리층군 연일현무암 및 양휘석안산암 149 101 192 Ky1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하양층군 울련산층 15 113 171 Tcub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상부현무암질 응회암 136 86 179 Km3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진주층 14 106 179 Tcat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금오리안산안질 응회암 124 72 165 Km2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하산동층 16 99 186 Tcuc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상부함탄층 236 185 39 Km1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낙동층 19 92 192 Tclb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하부현무암질 응회암 111 57 152 Km 중생대 백악기 묘곡층 20 86 195 Tclc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하부함탄층 225 167 34 Mi 중생대 관입암류 158 38 0 Tcsh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금광동셰일(식물층) 234 153 31 Cls 캠브리아기 옥천층군 변성사질암 168 112 0 Tcsa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신정동안산암 100 43 141 PCEgn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 137 68 68 Tcka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구룡포안산암 90 28 130 Rv 지중저장 적지 255 0 0 Tctr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눌태리조면암 82 14 122 NRv 지중저장 비적지 0 255 0 Tccg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 장기역암 233 142 28 At 대기 255 255 255 Kv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화산암류 76 0 115 N01 지질경계선 0 0 0 Kyjm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유천층군 장목리층 81 176 42 N02
단층
220
220
220
N04 추정단층 240 240 240 ● 어노테이션 포맷
- 객체 구조는 어노테이션 암상정보, 지질경계선 정보, 단층 정보, 추정단층 정보, 기타정보, 위치/심도정보로 구성되어 있음
- 이미지 내 어노테이션 대상 객체(Lithology)는 여러 개 있을 수 있으며, 여러 개 인 경우 “,”로 구분됨● 어노테이션 포맷 No 항목명 한글명 타입 필수 예시 여부 1 Info 기본정보 object Y 1-1 File_name 파일명 String Y GM_SD_HE22 2 Lithology 암상정보항목 array Y 2-1 Ligtho_idx 암상기호 Number Y 105 2-2 Litho_name 암층명 String Y 낙동층군 하산동층 다인층원 2-3 Age 생성시기 String Y 중생대 백악기 2-4 Ref_rock 주요암석 String Y 실트스톤, 사암, 역질사암 2-5 Coordinates 지리좌표 array N [78,725] 2-6 Litho_depth_S 암상 시작심도 Number N 622 2-7 Litho_depth_E 암상 종료심도 Number N 623 3 Boundary 지질경계선 정보 항목 object N 3-1 B_Count 지질경계선의 수 Number N 1 4 Fault 단층 정보 항목 object N 4-1 F_Count 단층의 수 Number N 1 4-2 F_Length_m 단층의 길이(m) Number N 623 4-3 F_Depth_m 단층의 깊이(m) Number N 600 4-4 F_Angle 단층의 각도(deg) Number N 45 5 Inf_fault 추정단층 정보 항목 object N 5-1 I_Count 추정단층의 수 Number N 1 5-2 I_Length_m 추정단층의 길이(m) Number N 623 5-3 I_Angle 추정단층의 각도(deg) Number N 45 6 Etc 기타정보 object N 6-1 D_Direction 경사의 방향 String N E 6-2 D_Degree 경사의 각도(deg) Number N 17 7 Range 위치, 심도 정보 항목 object N 7-1 Coord_sys 좌표계 String Y WGS84 7-2 Start_pt 시점 좌표 String Y 35.464640, 128.240040 7-3 End_pt 종점 좌표 String Y 35.465105, 128.372622 7-4 Length_m 측선길이(m) Number N 1400 7-5 Start_depth 시작 심도 Number N 622 7-6 End_depth 종료 심도 Number N 623 7-7 Elevation_MIN 최저고도 Number N 0 (고정) 7-8 Elevation_MAX 최고고도 Number N 2450 (고정) 7-9 Elevation_BL 시추공 고도 Number N 10 ● 어노테이션 및 라벨링 적용
- 객체 컬럼은 Ligtho_idx, Litho_name, Age, Ref_rock으로 생성하고, 클래스는 변성암류, 옥천층군 변성사질암, 관입암류, 묘곡층 등으로 구성하여 각 클래스별 고유 코드값 정의● 어노테이션 및 라벨링 적용 속성명 한글명 타입 필수여부 예시 Ligtho_idx 암상기호 Number Y 105 Litho_name 암층명 String Y 낙동층군 하산동층 다인층원 Age 생성시기 String Y 중생대 백악기 Ref_rock 주요암석 String Y 실트스톤, 사암, 역질사암 ●실제예시
-
데이터셋 구축 담당자
수행기관(주관) : ㈜이쓰리
수행기관(주관) 책임자명 전화번호 대표이메일 담당업무 국중현 070-5066-1087 jhkook@ethree.co.kr · 사업총괄 · 데이터(지질도,지질단면도) 구축 및 데이터 검수 · 품질관리 수행기관(참여)
수행기관(참여) 기관명 담당업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데이터(지구물리탐사) 구축 및 데이터 검수 ㈜인텔리지오 · 데이터(지구물리탐사) 구축 및 데이터 검수 ㈜마인드포지 · AI알고리즘 개발 데이터 관련 문의처
데이터 관련 문의처 담당자명 전화번호 이메일 국중현 070-5066-1087 jhkook@ethree.co.kr
-
인터넷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여 보안 조치가 요구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없이 접근하고 분석 가능
* 온라인 안심존 : 보안이 보장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집, 연구실, 사무실 등 어디서나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
* 오프라인 안심존 : 추가적인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지정된 물리적 공간에서만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 -
- AI 허브 접속
신청자 - 안심존
사용신청신청자신청서류 제출* - 심사구축기관
- 승인구축기관
- 데이터 분석 활용신청자
- 분석모델반출신청자
- AI 허브 접속
-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IRB 알아보기] [공용IRB 심의신청 가이드라인]
2.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된 연구계획서
3. 신청자 소속 증빙 서류 (재직증명서, 재학증명서, 근로계약서 등 택1)
4. 안심존 이용 신청서 [다운로드]
5. 보안서약서 [다운로드]
※ 상기 신청서 및 첨부 서류를 완비한 후 신청을 진행하셔야 정상적으로 절차가 이루어집니다. -
신청 및 이용관련 문의는 safezone1@aihub.kr 또는 02-525-7708, 7709로 문의
데이터셋 다운로드 승인이 완료 된 후 API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PI 다운로드 파일은 분할 압축되어 다운로드 됩니다. 분할 압축 해제를 위해서는 분할 압축 파일들의 병합이 필요하며 리눅스 명령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리눅스 OS 계열에서 다운로드 받으시길 권장하며 윈도우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wsl(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설치가 필요합니다.
※ 파일 병합 리눅스 명령어
find "폴더경로" -name "파일명.zip.part*" -print0 | sort -zt'.' -k2V | xargs -0 cat > "파일명.zip"
- 해당 명령어 실행 시, 실행 경로 위치에 병합 압축 파일이 생성됩니다.
- 병합된 파일 용량이 0일 경우, 제대로 병합이 되지 않은 상태이니 "폴더경로"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데이터셋 소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버튼 클릭하여 승인이 필요합니다.
오프라인 데이터 이용 안내
본 데이터는 K-ICT 빅데이터센터에서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미개방 데이터 포함)를 분석할 수 있는 오프라인 분석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안심구역 이용절차 및 신청은 K-ICT빅데이터센터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방데이터 개방 안내
본 데이터는 국방데이터로 군사 보안에 따라 AI허브에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으며,
군 담당자를 통한 별도의 사용 신청이 필요합니다.